DATA INSIGHTS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6월 이용 트렌드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6월 이용 트렌드

2023년 6월,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현황 분석

이번 글에서는 2023년 6월 한 달 동안의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현황을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따릉이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공자전거 서비스로 서울시민들이 일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따릉이의 이용 패턴과 트렌드를 파악해보겠습니다.

따릉이 대여소: 2,717곳

상위 대여소 10곳과 하위 대여소 10곳의 이용 횟수를 비교해보면 약 380배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이 사항으로는 상위 대여소 중 마곡나루역이 3곳이나 차지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띕니다. 마곡나루역은 직장인이 많은 지역으로 출퇴근 시간대에 이용 빈도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음시간에 좀 더 면밀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대여소 개수 2,717곳
따릉이 대여소 개수

역시 가성비 좋은 정기권

아래 도넛형 차트를 보시면 따릉이 이용자의 82%는 정기권을 이용하고 있으며 99%는 회원가입을 통해 따릉이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정기권의 경제적인 이점과 회원 가입의 편리함이 많은 이용자를 끌어들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정기권을 이용하면 일일 대여 요금보다 훨씬 저렴하게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정기권 이용 비율 82%
정기권 이용현황

서울 시민의 선택: 4,933,508건

2023년 6월의 따릉이 총 이용건수는 약 500만 건에 이르고 있습니다. 일평균 이용 건수는 164,450건을 기록했습니다.
이 수치는 따릉이가 서울 시민들의 일상적인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6월 초에 비해 기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이용 건수가 줄어드는 것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름철 더운 날씨가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에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냅니다.

  • 이용건수의 차이 : “대여구분코드별 이용건수”와의 차이는 중복이용 포함여부에 따른 차이입니다. 즉, “대여구분코드별 이용건수”는 중복이용을 제외한 수치입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일별 이용 건수 그래프
따릉이 일별 이용건수(6월)

티끌모아 태산: 12,745,483,378m

따릉이 6월 총 이용거리인 12,745,483,378m는 지구 한 바퀴를 약 42,000km로 가정했을 때 303바퀴를 돌 수 있는 거리입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하루 평균 이용거리가 42만 km로, 하루에도 약 10바퀴씩 지구를 돌고 있는 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상당한 거리죠.
이는 따릉이가 시민들의 이동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건당 평균 이동거리는 2.5km였습니다. 일상적인 출퇴근이나 학교, 생활 편의시설로의 이동에도 따릉이가 자주 이용된다고 짐작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일자별 이용거리
일자별 이용거리

더 달리고 싶은 따릉이: 이동 거리 2km 이내

아래 막대그래프를 보시면 따릉이 이용자의 약 56%가 2km 이내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따릉이를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최빈 구간은 501~1,000m 구간으로 약 20%에 해당합니다. 이는 많은 이용자들이 짧은 거리 이동에 따릉이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에서 집이나 직장까지의 짧은 이동 거리에 따릉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보로 가기에는 다소 멀고, 차량을 이용하기에는 가까운 거리에 서울 자전거 따릉이가 최적의 수단임을 보여줍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동거리별 이용건수
따릉이 이동거리별 이용건수

출/퇴근시간이 제일 바빠요

시간대별 이용 현황을 보시면 출근시간, 등교시간과 퇴근시간에 이용자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전 8시, 오후 6시에 이용자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직장인들과 학생들이 출퇴근 및 등교를 위해 따릉이를 많이 이용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시사합니다.
출퇴근 시 직장인들이 지하철 또는 버스 정류장과 직장 사이를 오가는 수단으로 따릉이를 이용하고 있는 걸까요?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시간대별 이용건수
따릉이 시간대별 이용건수

다음 그래프를 보시면 어느 정도 이 가설이 맞는 것 같습니다.
대여시간별 평균 이용거리, 이동거리를 보시면 8시부터 9시 사이 이동거리가 2km 이하로 가장 짧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출근 시간에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 짧은 거리를 따릉이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음을 나타냅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평균 이용거리
따릉이 대여시간별 평균 이용거리

그렇다면 18시 이후는?
이때는 좀 더 긴 거리를 여유 있게 운동 삼아 한두 정거장 더 따릉이를 타고 가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식으로 따릉이를 활용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퇴근 후에는 시간이 더 여유로워 긴 거리를 이동하며 운동을 겸하는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도 보입니다.

연령대별 이용건수 비율

오늘의 마지막 그래프는 연령대별 이용 건수 비율입니다. 20대의 비율이 33.4%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4.8%, 40대가 14.5%로 1~3위를 차지했습니다. 60대 이상에서도 3.3%의 비율로 따릉이를 이용하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연령대별 이용건수 비율
따릉이 연령대별 이용건수 비율

1차 분석은 여기까지

오늘은 2023년 6월의 서울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는 첫 번째 시간이었습니다.
디테일한 분석을 하다 보니 글이 너무 길어져 나누어서 올리고자 합니다.
성별, 연령대별, 시간대별 등 다양한 시각으로 쪼개고 쪼개서 쪼갤 수 없을 때까지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추가 분석 계획

다음 글에서는 성별, 연령대별, 시간대별 따릉이 이용 패턴을 더욱 깊이 분석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성별에 따른 이동거리와 이용시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연령대별로 어떤 요일에 자전거를 더 많이 이용하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특정 대여소에서의 이용 패턴과 시간대별로 어떤 패턴이 있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본 저작물은 ‘서울특별시’에서 ‘20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서울특별시 공공자전거 이용정보(시간대별)_2306’ 파일을 이용하였습니다.

Recent posts